
현대적 의미의 조경(造景, Landscape Architecture)은 19세기 말 미국의 Yellow Stone National Park, New York Central Park 등 도시공원의 조성 및 자연공원의 보존으로부터 시작되었다. 20세기 후반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전 지구적 환경위기와 문화인류학적 다양성을 중시하는 시대사조의 영향을 받아 도시조경, 생태조경, 전통조경 등의 분야가 새로운 의미로 대두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환경생태주의의 영향속에 도시계획과 건축, 생태학과 임학 등 인접 타 전문분야와의 통섭(通,Consilience)적 이론체계를 정립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조경학과에서는 통섭적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즉 현대의 시대사조인 환경과 문화에 대한 통섭적 인식 - 환경위기의 극복을 위한 환경생태적 이론체계와 세계화에 대처하기 위한 . 한국전통문화적 인식체계 를 기반으로 하여, 조경계획설계 및 시공관리 등에 관한 최신의 조경전문직능의 이론과 기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조경학의 현대의 시대사조인 통섭적 접근을 위하여
1. 통섭적 조경설계 studio 과목을 집중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통섭적 인식이란 전지구적 환경위기에 대한 인식,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타 분야와의 협업필요성등에 대한 인식이 기초가 된다. 이러한 설계과목으로는 주제형 정원설계, eco-campus 생태설계, 지형공간설계, 식재설계, 도시경관설계, 전통조경설계 등이 있다. 최종적으로 졸업설계를 통해서 통섭적 사고와 기법에 대한 적용성을 완성하도록 하였다.
2. 조경전문직능을 위한 기반적 이론과목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는 조경학의 이해, 관광및휴양공간계획론, 인간행태와 환경설계, 동양조경사, 서양조경사, 계획론과 설계론, 측량학 및 실습, 조경시공및적산, 환경생태학, 조경식물학및실습 등이 있다.
3.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숙지를 위한 필수과목을 개설하였다. 여기에는 CAD 및 컴퓨터그래픽기초. 환경GIS실습 등 과목을 개설하였다.